 |
|
 |
|
 |
1개월 |
|
 |
BCG (결핵예방접종) |
1.접종대삼 및 시기 기본접종:생후 1개월 이내의 모든 신생아 재접종:12세 전후의 소아중 투베르쿨린 음성 반응자
2.용량 및 방법 삼각근 부위 피내주사
3.금기사항 심한 피부질환,영양장애,발열,면역기능저하
4.부작용 국소궤양,국한성 화농성 임파선염 | | |
|
 |
|
 |
 |
|
 |
|
 |
2개월 |
|
 |
DTaP폴리오 (소아마비(TOPV) 예방접종) |
1.접종시기 기본접종:생후
2개월,4개월,6개월(3회) 추가접종:생후 18개월,4-6세
2.용량 및 방법 0.5ml 근육주사(접종시 마다 부위를 바꾼다)
3.금기사항 접종후 심한 부작용이 있었던 경우
4.부작용 일반국소증상:국소종창,발적,동통,발열 등 |
 |
B형간염 |
1. 접종 대상 및 시기
(1) 신생아의 예방 접종
▣ 임산부의 S간염항원이 양성인 경우(수직감염의 예방)
가능한 한 출생시 또는 12시간 이내에 B형 간염 인면역글로불린(HBIG)과 함께 접종부위를 달리하여 백신을 1차 접종하고,2차 백신은 백신종류에 따라 시기를 결정한다.(0,1,6 또는 0,1,2방식)
▣ 임산부의 S간염항원이 음성인 경우
생후 2개월 이내에 첫 접종을 시작한다.이후의 접종 일정은 약품설명서에 기재된 접종 방법(0,1,6개월 또는 0,1,2개월 방식)대로 실시한다.
▣ S간염항원 검사가 안되어 있는 임산부의 경우
S간염항원 선별검사로 인면역글로불린 투여여부를 결정하되 검사를 못한 경우에는 출생후 가능한 한 조기에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.
(2) S간염항원 양성 혈액에 노추되었거나 오염된 주사침에 찔린 사람 또는 급성 B형 간염 환자 와성적접촉한 사람 :
B형간염 인면역글로불린(0.06ml/kg,최대 5ml)와 함께 필요시 노출 7일 이내에 백신을 접종. (3) S항원 및 항체가 음성인 우리나라 사람은 모두 접종대상.
2. 용량 및 방법
(1) 방법 : 근육주사(영유아에선 대퇴근육,성인이나 연장아에선 삼각근)
▣ 기본접종
1차 접종 : 접종 개시일 2차 접종 : 1차 접종후 1개월 3차 접종 : 1차 접종후 백신제품에 따라 2개월 또는 6개월
▣ 추가 접종
처음에 항체가 있다가 없어진 경우(항체가 10mIU/ml 이하로 내려간 경우) 한번만 더 추가접종. 3차 접종 후에도 항체 안 생기는 경우 3번만 더 추가접종. 상기 기본접종으로 적절한 항체가가 갱기지 않은 무반응자에게는 기본접종을 동량 또는 2배용량으로 재시행한 후 1-3개월 내에 항체가를 다시 측정.
(2) 용량
일반적으로 신생아 및 10세 이하의 소아는 성인용량의 절반이 권장. 신투석 환자,장기이식 환자,종양환자 등 면역억제 상태 또는 면역결핍이 있는 사람에게는 2배의 접종량이 권장.
3. 금기사항 및 부작용
비교적 안전한 백신으로 알려져 잇으며 절대적인 금기사항 및 심각한 부작용은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.
(1) 국소반응 : 접종 부위의 통증,종창,경결
(2) 전신증상 : 간혹 발열,권태,구토,관절통,피부발진등 |
 |
Hib백신 |
1.접종대삼 및 시기 기본접종:생후 1개월 이내의 모든 신생아 재접종:12세 전후의 소아중 투베르쿨린 음성 반응자
2.용량 및 방법 삼각근 부위 피내주사
3.금기사항 심한 피부질환,영양장애,발열,면역기능저하
4.부작용 국소궤양,국한성 화농성 임파선염 | | |
|
 |
|
 |
|